표준감속기
VS모터
HOME > 제품안내 > VS모터

세대 VS모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773회 작성일 20-12-13 16:47

본문

VS모터
   1)전자결합방식 : 전자결합 방식으로 마모부분이 없어 수명이 길고 보수점검이 용이합니다. 
   2)
원할한 속도제어 : 속도비가 크며 지속에서나 저속에서나 고속에서의 속도가변 특성이 양호합니다.
   3)
간편한 조작성 : 가감속 조작은 간단하며 제어 R.P.M.이 지시됩니다.
   4)
미소전류제어 : 제어반 제어전류는 대단히 미소합니다.
   5)
용도의 다양성 : 제어반 선택에 따라 용도가 다양합니다.
   6)
취급취부가용이함 :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여 취부가 용이하며 버티칼형도 제작하고 있습니다.
 

   *속도 제어 범위 : VS모타의 사양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형은 150∼1500 RPM의 넓은 범위을 연속적으로 가감속할 수 있습니다. 특히 VS모타는 O회전부터 운전시킬 수 있어서 생산 공정상 손실절감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습니다. 

   *정토로크 특성 : VS모타는 구동모타의 토로크를 전달하는 전기적인 변속기이므로 속도의 고저에 관계없이 최대토르코는 정토르코 모타입니다. 토르크전달 효율은 100%에 근사하며 출력면에서 최고속도일 때 구동모타 정격의 80%이상인 능율적인 변속기로서 토르크 다음과 같이 계산 됩니다.

   *속도변동율: 제어반의 감도조정으로 광범위하게 조절되며 용도에 적합한 제어특수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VS모타에서 속도변경은 V형제어반 사용의 경우 최고 1%, F형제어반 사용의 경우 2%, 정도로서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응답속도 : 제어장치가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회로이기 때문에 수ns 이내로 여자전류가 조절되어 응답이 신속합니다. 일반형에서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부하가 증가할때의 응답은 신속하나 상당부하가 감소하면 감속 될 때 커플링이 자기제동력 갖지 못하므로 응답속도가 간혹 문제 될 때가 있습니다. 이는 동기 모타등에 속도제어에 비하여 변속모타로서 단점이 있겠으나 자기제동력을 갖는 특수형에서는 해결됩니다. 
 

   1대의 VS모타를 속도제어할때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형 제어반(VSMC-88SD형) 1개의 상입형에서 매우 간단하게 설치 운전할 수 있습니다.

   또 메인판넬이 있을 경우에는 제어반 컷트만을 분리하여 메인판넬에 취부할 수 있으며 제어반 조작반 각각 분리형도 간단하게 됩니다.

   *VS Motor는 단독가변속 운전에서부터 모든 자동제어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1)단독제어 : 1대의 가변속 기계운전(표준 사용법)
    2)툴크제어운전: 정톨크 특성을 이용한 운전설정 장력 유지 또는 메인 모터의 보조기(Helper)
    3)멀티드라이브: 한 대의 기계의 구동을 2대이상의 VS Motor에 부하 분담을 시켜서 운전.
    4)비율제어 : 두 대 이상의 기계를 회전비를 유지 시키면서 운전.
    5)추종제어 : 주 기계의 속도를 검출 주기계와 등속 또는 비례관계를 갖게 운전.
    6)프로세스제어: VS Controller의 신호를 압력, 유량, 러벨, 농도, 온도, 등의 푸로세스 양으로 제어
    7)프로그램제어: 시간, 속도, 위치등의 프로그램 설정 제어.
    8)타임스타트: 관성 부하의 스타트 특성 개선.
    9)GP. FC 콤비네이숀 운전: 자기 제동 및 정밀속도 운전
   10)CP. D.M.B 콤비네이션 운전: 비상정지-브레이크

.


             


  

   .
 

 

  
  

      


 

                                                                                                         


   

                                                                                    


 


  



 icon01.jpgVS모터는 원동력인 구동모타가 가변속부인 커플링 및 속도검출 발전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ub_title37.jpg

img01.jpg
   icon01.jpg일반형에서는 전폐외선 후렌지형 유도전동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구동모터의 출력이VS 커플링의
      입력으로 됩니다.
sub_title38.jpg
   icon01.jpg구동모터에 직결된 정속회전부와 부하측에 연결
      되어 있는 가변속부 및 여자코일(EXCITE COIL)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자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력선이 발생하여
      정속회전부(구동모터)의 회전력(TOR QUE)을
      가변속부(부하측)에 전하게 됩니다.
sub_title39.jpg
   icon01.jpgVS모터 응용에는 속도를 고려치 않은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부하의 회전속도를 지시하고
      휘드백(FEED BACK)하여 광범위한 속도제어를
      안전하게 합니다. 보통출력축에 직결되는 내장형과       외부설치형이 있습니다.
      영구자석발전기로 저속시에는 전원주파수의
      영향이없는 고주파발전기가 사용되며 여건에 따라       광전식과 전자식도 채택됩니다.


 
sub_title40.jpg
icon13.jpg공냉식 VS모터: 자력공냉식에서는 VS커플링의 정속회전부가 FAN구조로 되어있어 커플링내의 열(드럼, 여자코일)을                           통풍시킵니다.   과부하와 저속일수록 발열량이 상승하지만 냉각구조의 개선으로 125HP까지도
                          공냉식으로 제작됩니다.